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 기초 이론

[네트워크] 라우팅 프로토콜 RIP, OSPF, IGRP

RIP, OSPF, IGRP는 모두 내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IGP)로, 자율 시스템(AS) 내에서 사용되는 라우팅 프로토콜입니다.

 

RIP (Routing Information Protocol)

거리 벡터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가장 오래된 라우팅 프로토콜 중 하나입니다.
홉 카운트를 기준으로 최적의 경로를 결정합니다.
장점:
    소규모 네트워크에서 효율적입니다.
    구현이 간단합니다.
단점:
    최대 홉 수가 15개로 제한되어 대규모 네트워크에 적용하기 어렵습니다.
    30초마다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여 네트워크 대역폭을 많이 사용합니다.


OSPF (Open Shortest Path First)

링크 상태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프로토콜입니다.
대역폭을 기준으로 최적의 경로를 결정합니다.
장점:
    대규모 네트워크에 적합합니다.
    Area 개념을 사용하여 효율적인 네트워크 관리가 가능합니다.
    VLSM을 지원합니다.
특징:
    헬로 패킷을 사용하여 인접 라우터와 관계를 맺습니다.
    네트워크 토폴로지 변경 시 신속하게 적응합니다.

IGRP (Interior Gateway Routing Protocol)

시스코에서 개발한 거리 벡터 프로토콜입니다.
다양한 요소(대역폭, 지연, 신뢰성, 부하, MTU)를 고려하여 경로를 결정합니다.
장점:
    RIP보다 큰 네트워크를 지원합니다(최대 홉 카운트 255).
    다중 경로를 지원합니다.
단점:
    시스코 라우터에서만 사용 가능합니다.
    VLSM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90초마다 라우팅 테이블을 업데이트합니다.

 

 

참고 https://worlf.tistory.com/84

'네트워크 기초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OSI 7계층 - 기본  (2) 2024.09.08
[네트워크] UDP vs TCP 차이점  (4) 2024.09.05
NAT 통신 과정, DNS 서버  (2) 2024.03.14
TCP  (17) 2024.03.14
ARP  (1) 2024.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