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 기초 이론

TCP

TCP(Transmisstion Control Protocol)은 높은 신뢰성을 갖고 있으며, 연결의 설정과 해제를 담당하는 프로토콜이다.

 

역할

데이터를 전송하기전 양 종단 간의 연결설정(3way handshake)

연결 설정 후 가상회선 생성

 

특징

높은 신뢰성(속도 느림)

가상회선 연결방식

연결의 설정과 해제

데이터 흐름 제어

 

목적지 포트 번호(well known port)

20, 21 : FTP

22 : SSH

53 : DNS

443 : HTTPS

 

flag

SYN - 세션을 설정하는데 사용되며 초기에 시퀀스 번호를 보내고 시퀀스 번호는 임의적으로 생성해서 보냄

ACK - 받은 데이터의 바이트 값

FIN - 세션 종료

RST - 재설정, 비 정상적인 세션 연결 끊기

URG - 긴급한 데이터가 있으면 1 이 표시됨

PSH - 대화형 트래픽에 사용되는 것으로 버퍼가 채워지기를 기다리지 않고 데이터를 전달

 

3-way Handshake

1. 클라이언트는 임의 seq번호를 포함해서 SYN플래그를 송신한다.

2. 서버는 seq번호가 있는 SYN플래그를 받으면 seq번호를 ACK에 저장하고 1을 더해 SYN/ACK 플래그를 보넨다. seq번호는 SYN플래그에 대응하는 임의 번호 부여해 전송한다.

3. 클라이언트는 SYN플래그를 받고 1을 더해서 ACK번호로 전송한다.

 

 

 

 

 

'네트워크 기초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라우팅 프로토콜 RIP, OSPF, IGRP  (0) 2024.09.02
NAT 통신 과정, DNS 서버  (2) 2024.03.14
ARP  (1) 2024.03.14
[네트워크] TCP/IP 계층 모델, 스위치  (1) 2024.03.14
OSI 7계층  (15) 2024.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