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I 7계층이 뭔가요?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모델은 국제 표준화 기구(ISO) 등에서 1970년대 후반에 개발되었습니다. 1984년에 ISO 7498이라는 첫 번째 형태로 발표되었으며, 현재 버전은 ISO/IEC 7498-1:1994입니다. 다음으로 모델의 7개 계층이 제시됩니다.
물리 계층
물리 계층은 물리적 통신 매체와 해당 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을 말합니다. 기본적으로 데이터 통신은 광섬유 케이블, 구리 케이블 및 공기와 같은 다양한 물리적 채널을 통해 디지털 및 전자 신호를 전송하는 것입니다. 물리 계층에는 Bluetooth, NFC, 데이터 전송 속도 등 채널과 밀접하게 관련된 기술 및 지표에 대한 표준이 포함됩니다.
전송 단위 : Bit
데이터 링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은 물리 계층이 이미 존재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두 시스템을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기술을 말합니다. 이 계층은 데이터 패킷에 캡슐화된 디지털 신호인 데이터 프레임을 관리합니다. 데이터 링크 계층의 주요 초점은 보통 데이터의 흐름 제어 및 오류 제어입니다. 이더넷은 이 수준의 표준을 보여주는 예입니다. 데이터 링크 계층은 보통 두 하위 계층인 매체 접근 제어(MAC) 계층과 논리 링크 제어(LLC) 계층으로 나뉩니다.
- 전송 단위 : Frame
네트워크 계층
네트워크 계층은 분산된 네트워크 하나 또는 연결된 여러 네트워크의 노드 또는 머신을 통한 라우팅, 전달 및 주소 지정과 같은 개념과 관련이 있습니다. 네트워크 계층은 흐름 제어도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에서는 인터넷 프로토콜 v4(IPv4) 및 IPv6가 주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로 사용됩니다.
- 전송 단위 : Packet
전송 계층
전송 계층의 주요 초점은 데이터 패킷이 손실이나 오류 없이 올바른 순서로 도착하는 것이나 필요한 경우 데이터 패킷을 원활하게 복구하는 것에 있습니다. 전송 계층의 초점은 보통 흐름 제어 및 오류 제어입니다. 이 계층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프로토콜로는 거의 손실 없는 연결 기반 프로토콜인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과 손실이 많은 무연결 프로토콜인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이 있습니다. TCP는 일반적으로 모든 데이터가 손상되지 않아야 하는 경우(예: 파일 공유)에 사용되는 반면, UDP는 모든 패킷을 보존하는 것이 덜 중요한 경우(예: 비디오 스트리밍)에 사용됩니다.
- 종단간(End to End)에 신뢰성 있고 정확한 데이터 전송을 담당
- 전송 단위 : Segment
- 프로토콜 : TCP, UDP 등
세션 계층
세션 계층은 한 세션에서 서로 다른 두 애플리케이션 간의 네트워크 조정을 담당합니다. 세션은 일대일 애플리케이션 연결 및 동기화 충돌의 시작과 끝을 관리합니다.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NFS)과 서버 메시지 블록(SMB)은 세션 계층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프레젠테이션 계층
프레젠테이션 계층은 주로 애플리케이션에서 전송하고 소비하는 데이터 자체의 구문과 관련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HTML), JavaScript 객체 표기법(JSON), 쉼표로 구분된 값(CSV)은 모두 프레젠테이션 계층의 데이터 구조를 설명하는 모델링 언어입니다.
사용자의 명령어를 완성 및 결과 표현, 포장/압축/암호화
애플리케이션 계층
애플리케이션 계층은 특정 유형의 애플리케이션 자체와 표준화된 통신 방법과 관련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브라우저는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보안(HTTPS)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고, HTTP 및 이메일 클라이언트는 POP3(우체국 프로토콜 버전 3) 및 SMTP(간이 전자 우편 전송 프로토콜)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습니다.
- 사용자와 가장 밀접한 계층으로 인터페이스 역할
- 응용 프로세스 간의 정보 교환 담당
- 전송 단위 : Message
- 프로토콜 : HTTP, FTP, SMTP, POP3, IMAP, Telnet 등
출처: https://prinha.tistory.com/entry/Network-네트워크관리사-2급-요약-OSI-7계층-TCPIP-4계층-7 [what is programming:티스토리]
'네트워크 기초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TCP] 네트워크 TCP 헤더 종류 (0) | 2024.09.19 |
---|---|
[DoS] Slow HTTP 공격 (0) | 2024.09.12 |
[네트워크] UDP vs TCP 차이점 (4) | 2024.09.05 |
[네트워크] 라우팅 프로토콜 RIP, OSPF, IGRP (0) | 2024.09.02 |
NAT 통신 과정, DNS 서버 (2) | 2024.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