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구축 (5) 썸네일형 리스트형 [GNS3] 네트워크 구축 실습 (5) - 여러 대의 라우터를 활용한 망, 동적 라우팅 no ip domain-lookip,ip default-gateway,access-list 10 permit ,ip nat inside source list 10 int fa 0/0 overload 안녕하세요. 오늘은 여러 대의 라우터를 활용한 망을 구축해보는 실습시간을 가져 보겠습니다. 우선 다음과 같이 만들어 주세요. 그리고 링크선을 연결해 줍니다. 이제 라우터1 에서 IP를 할당해 봅시다! 할당하기전 기본적인 명령어를 알아보겠습니다. no ip domain-lookip : 도메인을 찾지 말라는 명령어이다. 명령어가 오타가 나면 라우터는 오타를 도메인이라고 생각하고 도메인 조회를 한다. 이것을 방지 하는 것이다. ip default-gateway [주소] : 직접연결을 하지 않은 네트워크에 패킷을 설정된 주소로 보넵니다. 이것은 나중에 동적라우팅_OSPF을 할때 이용 됩니다. access-list 10 permit [주소] : 10번 ACL번호를 사용하여 [주소]에서 오는 트래픽을 허용한다. 다.. [GNS3] 네트워크 구축 실습 (4) tunneling 터널링 동적라우팅 RIP 안녕하세요~ 자 그럼 지금부터 본격적으로 터널링실습에 들어 가겠습니다. 이제 터널링을 확인하기 위해 각 라우터들의 ip route연결이 어떻게 이루어 져야 하는지 봅시다. 이렇게 과정을 끝냈으면(나의 수업을 따라온 학생이라면 위 사진처럼 연결이 되어있을줄 믿는다.) sh ip ro로 정보를 봅시다 먼저 R1 이다. 👏👏이제 R2,R3에 터널링 설정 해보자 간단하게 생각하자 R2에서 1. R2에서 R3가는 터널(tunnel 0)을 구성 -> int tun 0 2. 터널의 주소 할당 -> ip addr 172.16.1.1 255.255.0.0 3. 터널 소스를 시리얼 2/0 으로 설정 -> tun source se 2/0 4. 터널의 대상 주소 설정 -> tun dest 2.1.1.254 5. GRE터널 모.. [GNS3] 네트워크 구축 실습 (3) tunneling 터널링, 라우터 주소 삭제, trace 2편에 이어 3편 시작하겠습니다. 혹시 2편을 보지 않은 분이라면 보고 오시면 좋습니다.https://hoooola.tistory.com/46 [GNS3] 네트워크 구축 실습 (2) 터널링 Tunneling 바로 시작 합시다. 1편에서 만들어 놓은 구축도로 바로 시작합시다. 만약에 터널링 실습이 처음이라면 1편 먼저 하고 와주세욥 https://hoooola.tistory.com/45 [GNS3] 네트워크 구축 실습 (1) 라우터, 스위 hoooola.tistory.com 라우터 저장은 wr co ru co 입니다 꼭 저장하고 끄세요 만약에 잘못 설정한 부분이 있다면 끄고 다시 켜서 저랑 같이 설정하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라우터에 등록된 fa삭제하는 법 라우터간 통신을 위한 명령어 ip route [.. [GNS3] 네트워크 구축 실습 (2) 터널링 Tunneling 바로 시작 합시다. 1편에서 만들어 놓은 구축도로 바로 시작합시다. 만약에 터널링 실습이 처음이라면 1편 먼저 하고 와주세욥 https://hoooola.tistory.com/45 [GNS3] 네트워크 구축 실습 (1) 라우터, 스위치, PC간 통신, 명령어 안녕하세요 오늘 GNS3 를 이용한 근거리 네트워크 구축 실습을 해보겠습니다. 1. 먼저 이더넷 스위치와 pc 3대를 넣어주세요. 2. 그리고 스위치와 pc 를 연결합니다. 3. 각 피시에 IP주소를 설정해 줍 hoooola.tistory.com 먼저 라우터에 연결된 링크선을 제거해줍시다. 선 우클릭 삭제 라우트2,3과 스위치를 연결합니다. 보이는것처럼 f0/0 이라는것은 fastethernet링크선으로 연결한겁니다. 라우터1 은 시리얼링크로 각 라.. [GNS3] 네트워크 구축 실습 (1) 라우터, 스위치, PC간 통신, 명령어 안녕하세요 오늘 GNS3 를 이용한 근거리 네트워크 구축 실습을 해보겠습니다. 1. 먼저 이더넷 스위치와 pc 3대를 넣어주세요. 2. 그리고 스위치와 pc 를 연결합니다. 3. 각 피시에 IP주소를 설정해 줍니다. 4. 그리고 PC1 에서 PC2로 핑을 보넵니다. 5. 피씨의 주소를 보고 싶으면 show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이제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기기 간 통신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라우터를 추가해서 각 스위치와 연결합니다. fast Ethernet 을 사용하며 스위치는 이더넷7번포트를 이용해주세요. 2. 4번 PC IP주소 설정! 3. 이제 R1 라우터를 더블클릭해서 푸티를 켜줍니다! 그리고 conf t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conf t 란 configure terminal 의 약어로..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