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 기초 이론

[네트워크] TCP/IP 계층 모델, 스위치

1. 발생배경

ARPANET을 통해 정보를 공유하는 데 필요한 텔넷(원격접속 프로토콜) 및 FTP프로토콜이 먼저 개발

 

2. 어플리케이션 계층 (Application Layer) - 4계층

데이터를 작성하고 호스트의 다른 응용 프로그램과 통신

프로토콜 : SMTP, FTP, SSH, HTTP

단위 : Data/Message

 

3. 전송계층 (Transport Layer) - 3계층

로컬 네트워크 또는 라우터로 분리된 원격 네트워크에서 호스트 간 통신을 수행

프로토콜 : UDP, TCP

단위 : Segment

장비 : 게이트 웨이

 

4. 인터넷 계층 (Internet Layer) - 2계층

네트워크를 가로질러 테이터그램을 교환.

IP주소를 정의하고 경로를 지정하여 데이터그램을 전송.

TCP/IP 프로토콜에서 주소 지정 라우팅 구조를 정의.

프로토콜 : IP, ICMP, ARP 등

단위 : Packet

장비 : 라우터

 

5. 링크 계층(Link Layer) - 1계층

근거리 네트워크 망.

호스트가 라우터 없이 통신한다.

프로토콜 : Ethernet 등

단위 : Frame

장비 : 브릿지, 스위

 

 

6. TCP/IP 4계층과 OSI 7계층의 차이

OSI 7계층 : 데이터 통신에 필요한 계층과 역할을 정확하게 정의하려고 한 모델이다.

TCP/IP 4계층 : 현재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로, 좀 더 실무적이면서 프로토콜 중심으로 단순화된 모델이라고 볼 수 있다.

 

 

 

 

=============================

스위치

1. 등장배경

허브에 연결된 두 pc만 통신을 하게 되면 순간의 다른 pc통신이 불가하다 (CSMA/CD 방식이 원인)

 

2. 특징

MAC주소를 사용

 

3. 스위치 종류

 

L2 스위치 - 2계층

Input 포트를 통해 들어온 프레임을 목적지 MAC 주소를 기반으로 Output 포트를 통해 전송

Broadcast 패킷에 의해 성능 저하가 발생한다. (같은 대역 모든 호스트에게 뿌리는 것)

 

L3 스위치 - 3계층

L2 스위치 기능을 모두 가지고 있다.

IP 주소를 이용한 스위칭, 라우팅&포워딩

 

L4 스위치 - 4계층

L3 스위치 기능을 모두 가지고 있다.

TCP, UDP 등의 프로토콜 헤더를 분석하며, 이를 바탕으로 로드벨런싱 실시(부하분산)

 

L7 스위치 - 7계층

L4 스위치 기능을 모두 가지고 있다.

필터링 기능을 가지고 있어 바이러스 및 데이터 폭주 등 트래픽 증가에 효율적인 대처가 가능하다.

로드벨런싱, 보안기능(L5,6은 7계층을 이해할 수 없다.)

 

 

 

 

 

 

 

'네트워크 기초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NAT 통신 과정, DNS 서버  (2) 2024.03.14
TCP  (17) 2024.03.14
ARP  (1) 2024.03.14
OSI 7계층  (15) 2024.03.13
CSMA/CD, 충돌 감지 방법, CSMA/CA  (0) 2024.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