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 구축

[GNS3] 네트워크 구축 실습 (4) tunneling 터널링 동적라우팅 RIP

안녕하세요~

자 그럼 지금부터 본격적으로 터널링실습에 들어 가겠습니다.

 

 

이제 터널링을 확인하기 위해 각 라우터들의 ip route연결이 어떻게 이루어 져야 하는지 봅시다.

 

 

 

 

 

이렇게 과정을 끝냈으면(나의 수업을 따라온 학생이라면 위 사진처럼 연결이 되어있을줄 믿는다.)

sh ip ro로 정보를 봅시다

 

먼저 R1 이다.

 

 


👏👏이제 R2,R3에 터널링 설정 해보자

 

 

간단하게 생각하자

R2에서

1. R2에서 R3가는 터널(tunnel 0)을 구성 -> int tun 0

2. 터널의 주소 할당 -> ip addr 172.16.1.1 255.255.0.0

3. 터널 소스를 시리얼 2/0 으로 설정 -> tun source se 2/0

4. 터널의 대상 주소 설정 -> tun dest 2.1.1.254

5. GRE터널 모드 설정 -> tun mod gre ip

6. 목적지 네트워크와 다음 홉 설정 -> ip route 192.168.20.0 255.255.255.0 172.16.1.2

 

 


 

R3도 설정해줍니다.

 


 

터널 네트워크 주소가 추가 되었다.

 

위 사진에서

via 1.1.1.254 부분은 왜 있는지 모르겠다,, 삭제해야한다.

no ip route 192.168.10.0 255.255.255.0 1.1.1.254 로 삭제 하면 된다.(R3도 마찬가지)

 

 

이렇게 완료 했으면 남은 r2,r3의 정보를 보자 sh ip ro

라우터2

 

 

 

라우터 3

 

 


이제 PC1에서 PC4로 trace를 명령 해보자

 

나이스!@!! feat.도움을 주신 유성님께 박수를

 

이상 터널링편을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모두 박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