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래픽 인바운드(Inbound)와 아웃바운드(Outbound)는 네트워크에서 데이터가 이동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구분합니다.
1. 인바운드 트래픽 (Inbound Traffic)
정의
- 네트워크 내부로 들어오는 데이터를 의미합니다.
- 외부에서 내부 네트워크로 유입되는 트래픽.
- 예: 인터넷 사용자 → 내부 서버
예시
- 사용자가 외부에서 웹사이트에 접속 (HTTP 요청).
- 이메일 서버로 들어오는 이메일.
- 원격지에서 내부 네트워크로의 VPN 접속.
특징
- 일반적으로 클라이언트 요청 또는 외부에서 오는 응답이 포함됩니다.
- 방화벽, IDS/IPS와 같은 보안 장비는 인바운드 트래픽을 주로 검사하여 악성 트래픽(예: 해킹 시도, DDoS 공격)을 차단.
- 보안 문제: 인바운드 트래픽이 많으면 외부 공격 위험이 증가할 수 있음.
2. 아웃바운드 트래픽 (Outbound Traffic)
정의
- 네트워크 내부에서 외부로 나가는 데이터를 의미합니다.
- 내부 네트워크에서 외부로 송신되는 트래픽.
- 예: 내부 서버 → 인터넷 사용자
예시
-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접속하고, 서버로 데이터를 요청 (HTTP 요청).
- 내부 네트워크에서 외부 이메일 서버로 이메일 전송.
- 내부 시스템에서 클라우드 서비스로 데이터 업로드.
특징
- 사용자의 요청이나 내부 시스템의 데이터 송신이 포함됩니다.
- 내부 사용자의 트래픽이 외부로 나가면서 민감한 데이터(예: 개인 정보, 회사 기밀)가 유출될 수 있음.
- 방화벽은 주로 아웃바운드 트래픽을 필터링하여 허용되지 않은 외부 접속을 방지하거나 데이터 유출을 차단.
비교 요약
구분인바운드 트래픽 (Inbound)아웃바운드 트래픽 (Outbound)
방향 | 외부 → 내부 | 내부 → 외부 |
예시 | 웹 요청 수신, 이메일 수신 | 웹 요청 전송, 이메일 발송 |
주요 위협 | 해킹 시도, 악성코드 유입, DDoS 공격 | 데이터 유출, 불필요한 대역폭 사용 |
보안 초점 | 외부 위협 차단 | 민감 데이터 유출 방지 |
네트워크 장비 역할 | IDS/IPS, 방화벽의 유입 필터링 | 방화벽의 송신 필터링 |
인바운드와 아웃바운드가 중요한 이유
- 보안:
- 인바운드: 외부에서 들어오는 악성 트래픽을 차단(예: 해커 공격, 바이러스).
- 아웃바운드: 내부 데이터가 무단으로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방지.
- 대역폭 관리:
- 인바운드와 아웃바운드 트래픽이 과도하면 네트워크 속도가 느려질 수 있으므로 모니터링 필요.
- 트래픽 분석:
- 네트워크 관리자들은 트래픽 분석을 통해 네트워크 사용 현황, 이상 징후(예: 비정상적으로 많은 아웃바운드 트래픽)를 파악.
실제 사용 사례
- 웹 서버:
- 인바운드: 사용자 요청(HTTP/HTTPS)이 서버로 들어옴.
- 아웃바운드: 서버가 사용자 요청에 대한 응답을 보냄.
- DDoS 공격:
- 인바운드 트래픽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서버 과부하 유발.
- 데이터 유출:
- 악성코드나 내부 사용자가 민감한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아웃바운드 트래픽).
- VPN:
- 인바운드: 원격 사용자가 회사 네트워크로 접속.
- 아웃바운드: 회사 네트워크에서 원격 사용자에게 데이터 전달.
'네트워크 기초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PPS(Packets Per Second)와 BPS(Bits Per Second)의 차이점 (0) | 2025.01.02 |
---|---|
[Input, Output] 네트워크 인풋/아웃풋, 인바운드/아웃바운드와 차이 (0) | 2025.01.02 |
[네트워크] TCP 와 UDP 차이점 (0) | 2024.09.19 |
[TCP] 네트워크 TCP 헤더 종류 (0) | 2024.09.19 |
[DoS] Slow HTTP 공격 (0) | 2024.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