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기초 이론
[네트워크] TCP 와 UDP 차이점
양구영
2024. 9. 19. 17:29
🔥 쉽게 외우는 법
전세에유~~
1 전송계층 2 세그먼트 3 에러제어 4 유디피/티시피
1.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연결 지향적: TCP는 송신자와 수신자 간에 연결을 설정한 후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TCP 3-way 핸드셰이크 과정(연결 설정, 데이터 전송, 연결 종료)을 통해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을 보장합니다.
- 신뢰성: 데이터가 손실되거나 손상되면 TCP는 이를 자동으로 재전송하여 신뢰성을 보장합니다. 또한, 데이터가 올바른 순서로 도착했는지 확인하는 **순서 번호(Sequence Number)**와 **확인 응답 번호(Acknowledgment Number)**를 사용합니다.
- 흐름 제어 및 혼잡 제어: TCP는 송신 측과 수신 측의 네트워크 상태를 고려하여 데이터 전송 속도를 조절합니다.
- 사용 예: 웹 브라우징(HTTP/HTTPS), 이메일(SMTP), 파일 전송(FTP) 등 신뢰성이 중요한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됩니다.
2. UDP(User Datagram Protocol)
- 비연결 지향적: UDP는 송신자가 데이터를 보내면 그 즉시 전송하며, 연결 설정 과정 없이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즉, 데이터를 전송할 때 별도의 연결 설정이나 해제 과정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 신뢰성 부족: UDP는 데이터가 손실되거나 손상되어도 이를 자동으로 재전송하지 않으며, 순서 보장을 위한 추가 메커니즘이 없습니다.
- 빠른 전송: 데이터 전송에 추가적인 확인 과정이 없으므로 TCP보다 빠르고 가볍게 작동합니다.
- 사용 예: 실시간 스트리밍, 온라인 게임, VoIP(음성 통신)와 같이 속도가 중요하고 신뢰성이 덜 중요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됩니다.
차이점 요약:
- TCP는 연결을 설정하고 데이터의 신뢰성과 순서를 보장하며, 데이터를 정확하게 전송하는 것이 중요한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합니다.
- UDP는 연결 설정 과정 없이 빠르고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며, 속도가 중요한 실시간 애플리케이션에 주로 사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