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NS3] 네트워크 구축 실습 (1) 라우터, 스위치, PC간 통신, 명령어
안녕하세요 오늘 GNS3 를 이용한 근거리 네트워크 구축 실습을 해보겠습니다.
1. 먼저 이더넷 스위치와 pc 3대를 넣어주세요.
2. 그리고 스위치와 pc 를 연결합니다.
3. 각 피시에 IP주소를 설정해 줍니다.
4. 그리고 PC1 에서 PC2로 핑을 보넵니다.
5. 피씨의 주소를 보고 싶으면 show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이제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기기 간 통신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라우터를 추가해서 각 스위치와 연결합니다. fast Ethernet 을 사용하며 스위치는 이더넷7번포트를 이용해주세요.
2. 4번 PC IP주소 설정!
3. 이제 R1 라우터를 더블클릭해서 푸티를 켜줍니다!
그리고 conf t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conf t 란 configure terminal 의 약어로 전환모드에서 구성모드로 전환하는 사용됩니다! 이 명령어를 이용해서 장비의 설정을 변경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Cisco 장비에서 사용되는 명령어 입니다!!!
4. 이제 스위치 1번쪽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위해 f 0/0 에 네트워크 주소를 설정해 줍니다.
int f 0/0
no sh 는 no shutdown의 약어로 셧다운을 풀겠다라는 뜻입니다. 이 명령어의 입력으로 라우터의 데이터 흐름상태를 활성화 시킵니다.
그리고 라우터의 네트워크 주소 를 추가합니다. 왼쪽 네트워크 PC들은 10.10.10.10/24 의 주소를 쓰고 있습니다.
IP 주소는 가장 첫번째 10.10.10.1 로 씁니다. (10.10.10.0은 네트워크 주소이니 패스하고 1번으로 하자!@!)
여기서 잠깐!!!!
IPv4 주소체계에서 A클래스를 살펴 봐요!
✔️첫번째 바이트 범위는 1에서 126까지 입니다.
✔️기본 서브넷 마스크는 255.0.0.0 입니다.
따라서 A클래스의 IP주소는 대략 다음과 같은 형식입니다.
N.H.H.H
N은 네트워크 주소
H는 호스트 주소
우리는 현재 10.10.10.0/24 의 주소를 쓰고 있습니다.
제일 앞과 마지막은 네트워크,브로드캐스트 주소 이므로..
우리는 10.10.10.1 ~ 10.10.10.254 까지의 호스트 주소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라우터 기준 왼쪽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주소를 10.10.10.1/24의 주소를 씁니다.
5. 오른쪽 네트워크 int f 0/1 에도 주소를 설정해 줍니다.
6. 그리고 이제 정상적으로 통신 되는지 확인해 봅니다.
PC1에서
ping 172.16.10.10
하지만 작동되지 않습니다.
그 이유를 살펴 보기 위해 sh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PC1의 게이트웨이가 저렇게 설정되어 있습니다.
우리는 PC1에서 라우터를 거쳐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선 라우터의 주소 10.10.10.1 를 게이트웨이로 삼아야 송수신이 가능합니다.
7. 자!@! 이제 다시 PC1 에서 PC4로 핑을 보네봅시다!
다음 시간에는 터널링 구성 실습을 진행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