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기초 이론
DNS 레코드 종류 type 완벽 정리 - 네트워크, 보안
양구영
2025. 1. 19. 13:25
DNS에는 다양한 레코드 타입(DNS Record Types)이 존재하며,
이는 도메인 이름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각 타입은 특정한 목적과 용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주요 DNS 레코드 타입과 그 역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주요 DNS 레코드 타입
A (Address Record)
- 목적: 도메인 이름을 IPv4 주소로 매핑.
예시:
example.com. A -> 192.168.1.1
- 용도: 웹사이트, 서버 등 IPv4 기반 리소스에 대한 연결 설정.
AAAA (IPv6 Address Record)
- 목적: 도메인 이름을 IPv6 주소로 매핑.
예시:
example.com. AAAA -> 2001:0db8:85a3:0000:0000:8a2e:0370:7334
- 용도: IPv6 기반 리소스와 연결 설정.
CNAME (Canonical Name Record)
- 목적: 도메인을 다른 도메인 이름(Alias)으로 매핑.
예시:
www.example.com. CNAME -> example.com.
- 용도: 한 도메인을 다른 도메인으로 리다이렉션.
- 예: www.example.com을 example.com으로 연결.
MX (Mail Exchange Record)
- 목적: 이메일 전송을 위한 메일 서버의 주소를 지정.
예시:
example.com. MX 10 -> mail.example.com.
- 숫자(10)는 우선순위를 나타냄(낮을수록 우선).
- 용도: 이메일 라우팅 설정.
NS (Name Server Record)
- 목적: 특정 도메인에 대한 권한이 있는 네임서버를 지정.
예시:
example.com. NS -> ns1.example.com.
- 용도: 도메인 이름의 관리 및 DNS 쿼리에 응답할 네임서버 지정.
PTR (Pointer Record)
- 목적: IP 주소를 도메인 이름으로 매핑(역방향 조회).
예시:
1.1.168.192.in-addr.arpa. PTR -> example.com.
- 용도: 역방향 DNS 조회, 주로 이메일 서버 검증에서 사용.
TXT (Text Record)
- 목적: 도메인과 관련된 텍스트 정보를 저장.
예시:
example.com. TXT -> "v=spf1 ip4:192.168.1.1 -all"
- 용도:
- SPF(Sender Policy Framework) 레코드 설정.
- 인증 정보(DKIM, DMARC) 또는 기타 메타데이터 저장.
SOA (Start of Authority Record)
- 목적: DNS 존(zone)에 대한 관리 정보 제공.
예시:
example.com. IN SOA -> ns1.example.com. admin.example.com. (
20250101 ; Serial
7200 ; Refresh
3600 ; Retry
1209600 ; Expire
86400 ) ; Minimum TTL
- 용도:
- DNS 존의 기본 정보 및 관리 데이터를 포함.
SRV (Service Record)
- 목적: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위치를 정의.
예시:
_sip._tcp.example.com. SRV -> 10 5 5060 sipserver.example.com.
- 10: 우선순위, 5: 가중치, 5060: 포트 번호.
- 용도: VoIP, XMPP, LDAP 등 서비스 발견.
CAA (Certificate Authority Authorization)
- 목적: 도메인에 대해 인증서를 발급할 수 있는 **CA(Certificate Authority)**를 지정.
예시:
example.com. CAA -> 0 issue "letsencrypt.org"
- 용도: SSL/TLS 인증서 발급을 제어하여 보안 강화.
2. 특수 DNS 레코드 타입
NAPTR (Naming Authority Pointer)
- 목적: URI 또는 전화번호와 같은 리소스를 찾기 위한 규칙 제공.
- 용도: VoIP 및 ENUM(전화번호와 도메인 매핑) 서비스.
DS (Delegation Signer Record)
- 목적: DNSSEC(DNS Security Extensions)에서 사용되는 부모와 자식 존 간의 인증 연결.
- 용도: 도메인의 DNSSEC 보안을 강화.
DNAME (Delegation Name Record)
- 목적: 도메인 트리 전체를 다른 도메인으로 매핑.
- 용도: 하위 도메인의 리다이렉션.
3. DNS 레코드 타입 간 비교
타입기본 정보용도
A | 도메인을 IPv4 주소로 매핑 | 웹사이트 접속, 서버 연결. |
AAAA | 도메인을 IPv6 주소로 매핑 | IPv6 기반 리소스 연결. |
MX | 이메일 전송 서버 지정 | 메일 라우팅. |
CNAME | 도메인 별칭 설정 | 서브도메인 리다이렉션. |
NS | 네임서버 지정 | 도메인 관리 및 권한 위임. |
PTR | IP 주소를 도메인으로 매핑 | 역방향 DNS 조회, 이메일 인증. |
TXT | 텍스트 정보 저장 | SPF, DKIM, DMARC, 기타 메타데이터. |
SRV | 특정 서비스 서버 정보 제공 | VoIP, LDAP 등 서비스 라우팅. |
4. 요약
- A와 AAAA는 도메인-IP 주소 매핑.
- MX는 메일 서버 설정.
- TXT는 보안 및 메타정보 제공.
- PTR은 역방향 조회(검증).
- CNAME은 리다이렉션.
DNS 레코드는 도메인 이름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보안을 강화하는 핵심 구성 요소입니다. 필요에